대전 대학가를 중심으로 이용 늘어…주차·안전 문제 우선 해결 지적도

▲ 대전은 물론, 전국에서 공유 전동 킥 보드 플랫폼을 운영 중인 Deer의 모습

[ 시티저널 허송빈 기자 ] 올해 초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 19 영향으로 공유 킥 보드가 새 교통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.

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밖에 없는 대중 교통 보다는 개인 이동 수단(퍼스널 모빌리티)으로 공유 전동 킥 보드 이용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.

개인 이동 수단이다 보니 감염병인 코로나 19에서 보다 자유로울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서다.

대전의 경우 충남대학교와 KAIST를 중심으로 한 유성 지역에서 이용이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대전대학교와 우송대학교 등이 자리 잡고 있는 동구에서도 이용 확산이 점쳐진다.

많은 상업 시설이 모여 있는 서구에서도 어렵지 않게 공유 전동 킥 보드를 볼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.

정부의 신 산업 육성 정책에 따라 규제 완화 대상이기도 한 공유 전동 킥 보드는 가까운 거리를 편리하게 갈 수 있다는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.

공유 전동 킥 보드를 이용한 후 특정한 곳에 반납하지 않아도 되는 독 리스(Dock Less) 방식으로 운영하면서 주차 문제로 적지 않은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.

실제 인도나 건물 앞에 버려진(?) 전동 킥 보드 상당 수가 이용 후 반납한 전동 킥 보드로 볼 수 있다.

전동 킥 보드가 도로교통법에서 불법 주차 대상이 아니라 단속을 할 수도 없지만, 관련 민원이 끊임 없이 제기되면서 행정 기관은 해법 찾기에 고심 중이기도 하다.

서울시는 지정된 장소에만 전동 킥 보드 주차를 허용하는 방안 추진 중이고, 서초구는 이미 전동 킥 보드 주차존을 시범 운영 중이지만 관련 업체는 지정 구역 주차제 반대한다.

서울시와 서초구의 전동 킥 보드의 지정 구역 주차에 업체에서는 사물 인터넷(IoT) 기술을 활용한 전동 킥 보드 대여와 반납이 원천 봉쇄라고 맞서고 있는 것이 그 원인이다.

안전 문제도 종종 언급되고 있다.

전동 킥 보드의 과속·위협 주행이나 부주의로 사고가 발생하는 영상을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는 것은 물론, 올해 국민 권익 위원회에 전동 킥 보드 안전 관련 민원이 2000건 넘게 제기 되는 등 전동 킥 보드 이용자와 이를 바라 보는 일반 시민 사이의 간극을 보인다.

특히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다름 달부터 시행되면서 전동 킥 보드 이용 때 운전 면허와 나이 제한이 사실상 없어지면서 안전 우려도 높아진다.

하지만 이런 문제에도 불구하고 공유 전동 킥 보드 이용 요금이 기본 요금 + 분당 요금으로 이뤄져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가까운 거리 이동 때 비싸지 않은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고, 고가의 차량이나 전동 킥 보드를 구매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계속 그 인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.

저작권자 ©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